본문 바로가기

물생활 지식 [공부하며 작성]

물생활 입문 개요..혹은 가이드?

반응형

이번에 물생활을 재입문하며 공부하면서 쓰는 포스팅.

이번 포스팅은 물생활 입문의 대략적인 개요에 대해 작성 해본다.

 

대략적인 개요이므로, 각 주제에 대한 디테일 내용은 추후 포스팅에서 작성할 예정.

 

 

▶ 물생활이란 무엇일까?

물생활은 말 그대로 '물속 생물을 키우는 취미'를 의미한다.

물고기, 새우, 달팽이, 수초 등 다양한 생물을 어항 안에 들여놓고 관찰하고 돌보는 취미 활동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물생활의 매력은?
1) 힐링 효과

    - 잔잔히 흐르는 물, 느리게 움직이는 생물들. 일명 '물멍' 이라 부르는 어항감상, 그 자체가 스트레스를 해소해준다.
2) 작은 자연을 집 안에

    - 손바닥만 한 공간부터 몇 미터가 넘는 어항도 있지만, 내 집에 작은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
3) 꾸미는 재미

    - 수초, 유목, 바닥재를 배치해 나만의 레이아웃을 만들 수 있다.

 

 

 물생활 초보는 어떤 생물부터 키우면 좋을까?
처음엔 관리가 비교적 쉬운 어종을 키우는게 좋을 것 같다.

열대어 종류로는 제브라다니오, 구피, 베타 같은 생물들이 좋다고 한다.

이런 친구들은 대다수 수족관이나 마트에서 판매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새우를 좋아하는데, 생이새우 류(생이새우, 체리새우 등등등) 는 작고 귀여운데다

열대어보다는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수질 적응력이 좋다.

 

또한 조금만 신경써주면 포란하여 치비를 볼 수 있는

기쁨도 물생활러에게 선사해준다.

 

이런 아이들도 충분히 매력이 있으며,

어항 크기에 여유가 있고 여과력이 충분히 받쳐준다면 합사가 가능한 여러 종을 같이 키워서

물생활의 재미를 늘릴 수도 있다.

 

 

 어항 준비에 필요한 기본 장비
물생활을 시작할 때 필요한 대표적인 장비들을 알아보자.

  1) 어항 : 생물들이 살아갈 공간
  2) 여과기 : 물을 순환하고 깨끗하게 유지
  3) 히터 (선택사항) : 열대어/새우 키울 경우 온도 유지
  4) 조명 : 수초 광합성 및 감상용
  5) 바닥재 : 생물의 스트레스 감소, 수초 심기, 여과 박테리아의 서식지

  6) 사료 : 생물이 먹고 성장할 영양소
  7) 수질검사키트 (선택사항) : 수질 상태를 체크할 수 있음

 

 

▶ 어항은 어떻게 세팅할까?
  1) 어항 세척

  2)  바닥재 깔기
  3) 여과기/히터 설치
  4) 물 채우기 (수돗물이면 염소 중화제 사용)
  5) 조명 설치
  6) ‘물잡이’ 후 생물 입수!

 

물생활 입문 개요..혹은 가이드?

 

* 다음 포스팅 주제 예고

어항에 생물을 키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기본 용어 10가지

반응형